시간서버는 ntp가 돌고있어야함
ps -ef | grep ntp 로 확인하여
/usr/sbin.ntpd -u ntp:ntp -g 같은 프로세스가 돌고있음 됨.
cd /etc 밑에 ntp.conf
라는 파일에서 vi 로 확인하여 이서버가 어떤 서버를 시간서버로 두는지 확인가능
ex) server 211.115.194.21
ntpq -p 명령어로 몇번째 station 시간서버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확인(root만 가능)
*ntpl.sjtel.net 129.6.15.28 2(st) 이면 2번째 st인 시간서버를 * 메인으로 활용하겠다
+로 되어있음 *가 안되면 +를 사용하겠다란 뜻.
1번째는 굉장히 정밀한 타임서버임.
이렇게 ntp를 설정하고 이서버를 또 다른서버가 타임서버로 사용할수있는데 그렇게되면
서버ip 3(st) 가 되는거임.
ntp가 안올라와있어도(유닉스는 기본으로 깔려있음) ntp.conf에서 시간서버 설정은 해줄수있는데
ntp가 안올라와있으면 틀어질수있음.
이걸
ntpdate 211.115.194.21 이런식으로 명령어를 날려줘서 맞출수있는데
ntp가 기본으로 안깔려있는경우 아래처럼 크론에 넣어 ntpdate를 계속 날리도록하던가함
crontab -e
0 5 * * * /usr/sbin/ntpdate 211.115.194.21 >> /root/Desktop/mylog/ntp_log/ntp_cron_log.txt 2>&1
date로 서버시간 확인한다음
ntpdate 211.115.194.21 을 날리면
step time server 211.115.194.21 offset 807.522031 sec
이런식인데 807이면 거의 10분이 맞춰진거임
유닉스는 이미있으니 smitty를 이용해서 start 만 해주면됨
smitty xntp
-> start Using the xntpd Subsystem
확인후
move cursor to desired item and press Enter.
Now
Next System RESTART
BOTH
나오면 , 현재만 맞출거냐 다음 리부팅때도 맞출거냐 둘다할거냐 선택할수있음
Both하면됨
그리고 기다리면 Command 가 running에서 OK이가 됨.
esc+6 하면 smitty말고 원래 칠수있는 명령어를 확인할수있음.
smitty만 명령어치면 List All Subsystems 를 통해 어떤것을 smit에서 편하게 조정할수있는지 확인.
cd /etc
cd rc.d
를 가면 rc rc2.d rc3.d rc4.d 등 확인가능
/etc 에서 ls rc*
해보고
vi rc.tcpip 로 보면
smit명령어를 통해
#start up network time protocol (NTP) daemon
start /usr/sbin/xntpd "$src_running"
에 주석이 사라진걸 볼수있음.
'상용소프트웨어 사용법 > OS(리눅스 등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LVM 만드는 순서 (0) | 2023.12.28 |
---|---|
리눅스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포트 확인 (1) | 2023.12.28 |
리눅스 크론탭(작성중) (1) | 2023.12.27 |
리눅스 파일 찾기 및 용량많은순으로 정렬 (0) | 2023.12.27 |
윈도우창 여러개 띄우기(새데스크톱 추가) (1) | 2023.12.27 |